HOME > 커뮤니티 > 자료실

 
작성일 : 18-04-03 17:44
청소년 우울증의 분류
 글쓴이 : 한국청소년…
조회 : 10,920  



청소년 우울증의 분류

 


기분장애는 기능장애의 원인이 되는 기분의 변화, 과도한 슬픔이나 다행감(euphoria)이 특징이다. 기분장애를 분류하는 세 가지 측면은 극성, 심각성, 만성성이다.

 


극성(polarity)

 

극성은 기분 변화의 방향을 말한다. 단극성 우울증 환자는 침체된(down)’ 기분만을 경험한다. 이러한 침체된 기분의 특징은 슬픔, 무쾌감증(anhedonia)(: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 십대들이 종종 지루하다고 묘사하는 것), 과민함(irritability)이다. 양극성 스펙트럼 장애(형 양극성장애, 형 양극성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는 양극성장애(bipolar not otherwise specified), 순환성장애) 환자는 양방향으로 극단적으로 침체되고 고양되는 기분의 변화를 경험한다. ‘고양된(up)’ 기분은 조증(형 양극성장애에서 나타나는 덜 손상된 형태의 조증)이 있다. 조증(mania)은 고양된(elevated), 팽창된(expansive) 또는 과민한(irritable) 기분이 특징이다. 과민함은 많은 청소년 정신과 장애들에서 아주 흔한 특징이기 때문에, DSM-IV-TR(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에서는 과민함이 진단 기준이 되는 다른 정신장애와는 달리, 조증의 기준은 과민 증상 외에 다른 증상들이 더 필요하다.

 

 

심각성(severity)

 

심각성은 기분장애가 유발하는 손상의 정도, 지속의 정도(pervasiveness), 관련 증상의 수를 말한다.

 

 

만성성(chronicity)

 

만성성은 증상의 지속기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조증은 경조증보다 더 심각한데, DSM-IV-TR 기준에서 경조증이 아닌 조증의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증상이 더 오래 지속되어야 한다. 주요 우울증은 기분부전장애보다 하루의 더 많은 시간 동안 더 많은 증상을 경험한다. 증상의 수나 지속기간이 우울증이나 양극성장애의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형태는 달리 분류되지 않는(NO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이는 그 장애의 기준을 모두는 아니지만 대부분 갖고 있으며, 그 증상들이 기능적 손상을 야기한다는 의미다.

 

기분장애의 그 밖의 두 가지 특징 계절적인 패턴과 정신증 은 중요한 치료적 의미를 갖는다. 어떤 사람들은 가을에 발병하거나 더 악화되는 우울증을 경험한다. 이러한 계절성 우울증은 특정 주파수의 빛에 노출시켜 치료할 수 있다. 정신증 환자 역시 다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다음은 이러한 상태들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1) 우울증 아형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on)은 단극성 우울장애의 가장 심각한 형태다. 기분부전장애(dysthymic)의 진단은 주요 우울증보다 증상이 더 적고, 증상이 지속적이지 않다(주요 우울증은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 우울기분이 지속된다), 증상은 더 적지만, 치료자는 이 조건에 속아서는 안 된다. 만성성 때문에 손상이 꽤 크기 때문이다. 기분부전장애 환자는 종종 행복했다는 느낌을 기억하지 못한다. 기분부전장애는 종종 주요 우울장애로 발전한다. 기분부전장애가 있는 주요 우울장애는 이중 우울증(double depression)이라고 하며, 흔히 치료 저항성(treatment resistant) 우울증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사례

치료자가 부모와 14세 된 딸 앤을 평가한 후 부모에게 검사결과를 알려 주는 회기를 진행했다. 앤의 어머니는 딸이 잘 지내는 중에 가끔 침체되고 희망이 없고 철수된 날들이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앤의 어머니는 이렇게 일관성 없는 것을 보고, 앤이 단지 관심을 끌려는 것이라고 믿었다고 했다. 앤의 보고도 어머니의 관찰과 일치하였다. 동시에 앤은 3일 연속 기분이 좋았던 때가 떠오르지 않는다고 했다. 치료자는 앤 어머니의 관찰에 대해 어떻게 반응할 수 있을까?

 

 

앤과 어머니의 관찰에 일치하는 진단은 기분부전장애다. 치료자는 앤이 만성적이지만 간헐적인 우울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치료받지 않고 저절로 나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해 준다.

 

 

2) 청소년의 양극성장애

 

DSM의 현재 성인 기분은 청소년의 양극성장애를 진단하는 데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아동, 청소년은 성인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양극성장애를 가진 청소년은 더 적은 수의 뚜렷한 조증과 우울삽화를 보이는 대신에 급속한 순환, 즉 조증과 우울 기분이 빠르게 변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한 주 또는 심지어 하루 안에 수차례). 결과적으로 양극성장애 청년은 종종 DSM의 지속 기간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양극성장애 NOS나 제형 양극성장애는 성인과 달리 결국 제형 양극성장애로 발전할 확률이 높다.

양극성장애 환자의 주요 우울삽화는 단극성장애 환자의 주요 우울삽화와 구별이 안 될 수 있다.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들은, 양극성장애의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처럼, 양극성장애로 더 많이 발전되는 것 같다. 우울한 청소년 환자에게는 모두 조증이나 경조증 병력을 확인하여 조증 증상 발달 가능성을 관찰해야 한다. 부모의 양극성장애 병력은 자녀의 위험을 10배나 더 증가시키기 때문에 양극성장애의 가족력을 세심하게 평가해야 한다. 청소년의 단극성 우울과 양극성 우울은 구별하기 어렵다. 두 상태 모두 기분의 불안정성(mood lability)과 과민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단극성 우울의 불안정에는 경조증으로서의 순환은 포함되지 않는다. 과민함은 양극성장애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경조증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진단기준이 되는 증상들이 같이(in clusters) 나타나고, 경조증과 조증의 또 다른 주요 증상들(: 과대성(grandiosity), 성욕과도, 지나친 유머)이 포함되어야 한다.


출처: 우울과 자살 위기의 청소년 치료 , David A. Brent, Kimberly D. Poling, Tina R. Goldstein 공저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