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때로 너무 놀라운 사실임에도 무신경하거나 남의 일로 치부하고 넘어가는 일들이 있다. 단연 충격적인 것이 우리나라 10대 청소년의 사망원인
중 1위가 자살이라는 사실이다. 그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이 발표한 ‘2012년 상담경향 분석 보고서’는 우리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현주소가
얼마나 위태위태한 것인지 실감하게 한다. 청소년 상담의 25%가 정신건강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한다. “죽고 싶다”는 절박한 심정을 호소한 상담이
4년 새 6배 이상 늘었다고 하니 그 심각성을 짐작하고도 남을 만하다. 이쯤 되면 청소년 자살 문제는 개인의 차원을 뛰어넘어 전 사회적인 질병,
시대적 과제로 봐야 마땅하다.
이번 보고서에서도 드러났듯 청소년들이 학업이나 진로 문제보다 우울증이나 위축감, 자살·자해충동 등
정신건강 영역의 문제로 더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자살을 포함한 청소년 문제가 학업 스트레스나 진로 등 판에 박힌 고민뿐
아니라 한층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만큼 청소년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을 찾기 어렵다는 얘기다.
가정과 학교, 사회가 총체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최근 자녀의 성격이나 진로, 적성 등을 탐색하기 위한 일반상담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정작 일선 학교 단위에서 교사와 학생의 대면(對面) 정신상담이 얼마나 충실히 이뤄지고 있는가는 의문이다. 정신적 성장 과정에
있는 학생들은 자살충동을 느낄 때 어떻게 해야 할지조차 모른다. 각급 학교에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도입 혹은 강화하는 등 보다 실효성 있는
범국가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정부도, 학교도 말로만 창의·인성교육을 내세울 때가 아니다. 중학교도, 고등학교도 ‘일류학교’ 합격 숫자를 늘려 학교의 성가를 높이는 데 신경을
쏟고 있지는 않은지 스스로 돌아볼 일이다. 청소년 자살충동의 큰 뿌리는 역시 물질만능주의 사회 분위기와 성적지상주의 입시 위주 교육에 닿아
있다. 청소년 자살이라는 우리 사회의 병리현상은 결국 인성교육 부재에 그 원인이 있다. 청소년들의 자살충동을 막기 위한 감성·덕성교육이
긴요하다.
<서울신문, 사설>